2025-10-20
연합뉴스
진종오 의원실 예산안 분석…올해 20억원에서 내년 9억원으로 줄어
댕댕이와의 산책
[연합뉴스 자료사진]
최근 반려동물과 동반여행이 느는 추세를 보이는 것과 달리 정부가 내년 '반려동물 친화관광도시' 사업 예산을 올해의 절반으로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국민의힘 진종오 의원이 확보한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의 '반려동물 친화관광도시' 예산은 내년 9억원으로 올해 20억원의 절반을 밑돈다.
이 예산은 2023년 10억원에서 지난해 15억원, 올해 20억원으로 최근 증가추세를 보이다가 내년에 반토막으로 줄었다.
반려동물 친화관광도시는 반려동물과 함께 여행하면서 해당 지역의 다양한 관광자원을 활용해 자유롭게 숙박, 체험, 쇼핑 등 관광 활동을 할 수 있는 곳이다.
2023년부터 매년 2개 도시씩 지정해 현재 울산과 태안, 순천, 포천, 경주, 익산 등 6곳이 이름을 올렸다.
현재 추가 공모 계획은 미정으로 내년도 관광공사 예산은 전액 삭감됐다.
관광공사 관계자는 "기존에 지정된 6개 도시에 대해선 계속 지원할 예정"이라며 "다만 공사에서 진행하는 홍보마케팅 예산은 삭감됐다"고 설명했다.
진 의원은 "국민 3명 중 1명이 반려인인 시대에 정부의 반려동물 동반관광 정책은 여전히 걸음마 수준"이라며 "반려동물 친화관광도시 확대와 법적 기준 마련 등 정부의 실질적 정책 의지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농림축산식품부의 '제3차 동물복지종합계획'(2025)에 따르면 국내 반려동물 양육 가구 비율은 28.6%, 반려견 수는 약 500만마리로 각각 추정된다.
신나는 반려견 물놀이
[연합뉴스 자료사진]
반려동물 동반여행이 늘면서 관광공사도 최근 '반려동물 친화시설 조성 가이드라인'을 발표하기도 했다.
가이드라인에는 관광지와 숙박시설, 식음시설 등 다양한 관광시설에서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 기준이 담겼다.
다만 가이드라인 준수는 자율에 맡겨 실효성에는 의문이 든다고 진 의원은 지적했다.
최근 반려동물 관련 물림 사고와 배변·소음 민원이 꾸준히 발생하고 있지만, 사후보상 체계나 안전관리 의무를 규정한 법령이 없어 이용자와 반려동물 모두 불안한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는 것이다.
관광공사는 이와 관련 "반려동물 관련 다양한 시설이 존재하고 시설별 관련 규정이 다양한 법률에 산재해 있다"며 "가이드라인 활성화를 위해 지방자치단체와 현장 컨설팅을 시범적으로 진행하고 있고 홍보, 컨설팅, 교육 등을 지속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진 의원은 "반려동물과 함께하는 여행은 이제 '특별한 경험'이 아니라 '보통의 일상'이 됐다"며 "단순한 가이드라인 수준에 머무를 게 아니라, 숙박·관광시설의 안전·위생 기준을 법제화하고 사고 대응 매뉴얼과 보상체계를 제도적으로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울=연합뉴스) 강애란 기자 aeran@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